개발 환경()입니다.

우즈베키스탄 수출, KOTRA 지원사업+박람회 참가로 현명하게 준비하기 | 박람회 마케팅 Tip

‘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을 위한 팁! 타슈켄트 현지 무역관에게 들어봤습니다. KOTRA 지원사업과 박람회 참가로 수출 성과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시길 바랍니다!

마이페어 로고
    참가 중인 박람회
    로그인
    박람회 마케팅 Tip | 박람회 마케팅

    우즈베키스탄 수출, KOTRA 지원사업+박람회 참가로 현명하게 준비하기

    ‘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을 위한 팁! 타슈켄트 현지 무역관에게 들어봤습니다. KOTRA 지원사업과 박람회 참가로 수출 성과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시길 바랍니다!
    작성일: 2025-05-07

    우즈베키스탄 수출, 안심하고 도전하세요!

    해외 시장 진출에는 늘 낯설고 두려운 감정이 따라옵니다.

    특히 중앙아시아 CIS 지역처럼 정보가 많지 않은 나라는 시작조차 쉽지 않죠. 이럴 때 국내 기업들이 의지하는 존재가 바로 전 세계 85개국에 개설된 131개의 KOTRA 현지 무역관입니다. 각국의 무역관은 한국 기업의 수출 지원을 위해 시장 조사, 바이어 발굴 및 연결, 제품 홍보 등의 전반적인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도 현지 무역관이 있는데요.

    마이페어가 TIHE 2025 박람회 현장에서 타슈켄트 무역관 김경은 과장님을 직접 만나 우즈베키스탄 수출 관련 여러 이야기를 들어 봤습니다. 우즈벡 정부가 주력으로 삼은 산업부터 현지 시장 진출 시 활용하기 좋은 사업, 주의해야 할 점 등을 두 편의 아티클에 걸쳐 전합니다.

    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 팁_타슈켄트 현지 무역관 김경은 과장님.png

    사진 설명: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김경은 과장님

    _______________

    아래부터는 김경은 과장님의 인터뷰 답변을 정리한 글입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주력 육성 산업은?


    2023년,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 2030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발표 내용에는 주력 육성 산업 중 하나로 의료 산업이 있었고, 보건·의료 분야 질적 개선 추진을 위해 의료 인프라와 서비스를 개선 계획이 명시돼 있습니다. 이에 부흥하듯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눈에 띄게 성장 중인 산업도 메디컬 분야로 보이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재생에너지 산업과 IT 산업을 더 육성하려는 분위기입니다.

    Q. 뷰티 분야는 어떤가요?

    일부 의료산업과도 관련이 있으니 성장세가 비슷하다고 봐도 될까요?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우즈베키스탄은 아직 한국과 FTA를 맺지 않은 상태고, WTO도 가입하지 않은 국가입니다. 뷰티 제품처럼 단가가 비교적 작은 소비재는 관세나 물류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가격 경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통관으로 현지 시장에 진입하더라도 가격이 너무 비싸지니까요. 그럼에도 K-뷰티에 대한 현지 관심과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기에, 뷰티 시장 진출을 고민하고 있다면 가격 면에서 신중하게 판단하여 진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역시 우즈베키스탄 수출에 중요한 것은 ‘가격’이군요.

    우즈베키스탄이 중국과 거래가 활발한 이유에도 ‘가격’ 영향이 가장 큽니다.

    특히 의료 산업에서는 한국 제품 퀄리티가 중국보다 훨씬 좋다는 것을 바이어들은 이미 다 알고 있지만 항상 ‘가격이 비싸다’며 거래를 망설이고 있어요. 결국 ‘가격’은 우리 수출 기업이 가장 많이 고민하고 준비해야 할 부분입니다.

    Q. 그럼에도 우리 수출 기업이 우즈베키스탄을 공략할 만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의료 산업이 품질을 무시할 수 없는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바이어는 비싼 가격을 감수할 만큼 특별한 기술이나 제품에 대해 한국 제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요한 건, 높은 품질로 신뢰를 얻으면서, 합리적인 가격 정책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장기적인 가격 문제 해결을 위해 현지화를 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TIHE 2025 한국관 부스 _ 뷰티 기업.png

    사진 설명: TIHE 2025에 참가한 한국 뷰티기업

    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 시, 신청할 수 있는 지원사업은?


    ① 지사화 사업

    대표적인 연간 사업에는 ‘지사화 사업’이 있습니다.

    지사화 사업이란, 현지에 지사를 세우지 못하는 기업을 위해 저희 무역관에서 지사 역할을 대신해 드리는 것입니다. 신청한 기업에 한해서 타슈켄트 무역관 내 직원 한 명이 직접 지사 업무를 담당합니다. 우즈베키스탄에는 지금까지 약 20개 사 넘게 지사화 사업을 이용하고 계십니다.

    Q. 지사화 사업에서는 무엇을 지원해 주나요?

    현지 시장 조사, 바이어 발굴, 수출 상담, 물류 관련 업무 등을 지원합니다.

    말 그대로 기업의 해외 지사가 하는 업무를 저희 무역관에서 나서서 지원해 드리는 겁니다.

    일찍이 지사화 사업을 신청하면 현지 박람회 참가 성과에도 도움이 됩니다.

    한 사례로 우즈베키스탄 지사화 사업 이용 기업 2개 사가 TIHE 2025에 참가했는데요.

    저희 지사화 전담 직원이 기업 부스 운영에 함께 참여해 바이어 미팅을 지원해 드렸습니다. 박람회 참가에 지사화 전담 직원이 함께할 경우 참여 기업은 참가 만족도를 높게 느끼십니다. 지사화 전담 직원이 부스에 방문한 바이어 기업을 잘 알고 있어, 저녁 약속과 같은 후속 미팅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약 10년 동안 지사화 사업을 이용하시며 수출에 성공한 기업도 있습니다.

    지사화 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현지 바이어와 관계를 유지하고, 박람회에도 꾸준히 참가한 기업인데요. 주요 품목은 의료용품 생산 기계 설비로, 초기 진입 당시 독과점 시장이었지만 현지 정부 프로젝트 관계자를 바이어로 만나 수출에 성공하셨습니다.

    ② 해외 물류 지원사업

    현지 물류사 2곳 정도와 무역관이 계약을 맺어 수출 기업의 운송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해외 공동 물류 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들은 저희가 계약한 현지 물류사의 창고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③ 무역 사절단 파견

    무역 사절단 파견은 가장 전통적 방식의 지원사업인데요.

    한국 기업 10~15개사가 우즈베키스탄으로 직접 출장을 오셔서 B2B 미팅을 하실 수 있도록 지원해 드리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무역 사절단을 박람회와 연계한 사업으로도 운영했습니다.

    박람회에 참가하는 기업에게 B2B 미팅을 지원하는 건데, 박람회 참가 최소 한 달 정도에 신청을 받아서 바이어 연결을 해드렸습니다. 매년 이렇게 같은 방식으로 지원하는 것은 아니고, 기업에게 득이 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로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④ 수출 24 바이어 발굴

    KOTRA 단체 참가 및 개별 참가 지원사업에 참여하신다면 이와 연계해 바이어 발굴 서비스도 신청해볼 수 있습니다.

    바이어 발굴 서비스는 지원사업 참여를 하지 않아도 수출 24에서 유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설 바이어 발굴 서비스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1회 신청 당 2~3개사를 소개받을 수 있습니다. 박람회 참가 전에 미리 신청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TIHE 2025에서 한국 기업을 지원 중인 현지 무역관 김경은 과장님.png

    사진 설명: TIHE에 참가한 기업을 지원 중인 KOTRA 타슈켄트 무역관 김경은 과장님

    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에 중요한 것은 '꾸준함'


    한 번의 미팅, 한 번의 박람회로 드라마틱한 시장 진출 결과를 만들기는 어렵습니다.

    명확한 타겟을 정했다면 KOTRA 지사화 사업을 통해 현지 바이어와 접점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지원사업에 선정되지 않더라도, 해외 박람회 참가와 수출 24의 바이어 발굴 서비스를 함께 활용하면 바이어와의 초기 네트워크를 빠르게 형성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타슈켄트 무역관, 김경은 과장님 인터뷰였습니다.

    이어서, ‘우즈벡 바이어가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도 확인해 보세요!

    banner_타슈켄트 무역관 인터뷰_박람회 검색.png

    본 콘텐츠는 마이페어에서 직접 제작한 (2).png

      • #우즈베키스탄
      • #지원사업
      관련 아티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