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환경()입니다.

[해외박람회 지원사업 뜯어보기] '중기부 수출바우처' 지원 대상 - 상세 조건 | 박람회 마케팅 Tip

수출바우처는 크게 '성장바우처'와 '혁신바우처' 2가지가 있습니다. <성장바우처>에는 4가지, <혁신바우처>에는 6가지 사업으로 총 10가지 사업 종류가 있으며 각 사업별로 지원 대상이 다릅니다. 따라서 수출바우처를 신청하기 전에 '기본 지원 요건'에 충족하는지, 그리고 수출바우처 사업 종류별로 다른 지원 대상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마이페어 로고
    참가 중인 박람회
    로그인
    박람회 마케팅 Tip | 박람회 마케팅

    [해외박람회 지원사업 뜯어보기] '중기부 수출바우처' 지원 대상 - 상세 조건

    수출바우처는 크게 '성장바우처'와 '혁신바우처' 2가지가 있습니다. <성장바우처>에는 4가지, <혁신바우처>에는 6가지 사업으로 총 10가지 사업 종류가 있으며 각 사업별로 지원 대상이 다릅니다. 따라서 수출바우처를 신청하기 전에 '기본 지원 요건'에 충족하는지, 그리고 수출바우처 사업 종류별로 다른 지원 대상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작성일: 2021-06-03

    아래 내용은 <마이페어 전시 성과 연구소>에서 발행한 자료입니다.

    마이페어는 국제 박람회 전문가가 만든 해외 박람회 부스 '참가 서비스'(소개 보기)입니다.




    수출바우처는 크게 '성장바우처'와 '혁신바우처' 2가지가 있습니다. <성장바우처>에는 4가지, <혁신바우처>에는 6가지 사업으로 총 10가지 사업 종류가 있으며 각 사업별로 지원 대상이 다릅니다.


    따라서 수출바우처를 신청하기 전에 '기본 지원 요건'에 충족하는지, 그리고 수출바우처 사업 종류별로 다른데, 그 지원 대상에 해당되는지를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사업별로 지원 대상과 지원규모는 아래와 같습니다.

    ※ 단, 사업의 공지 내용은 매년, 회차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하고 상세한 내용 확인을 위해 모집 공고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 <성장바우처> 내수 및 수출 500만불 미만 기업에게 규모별로 맞춤 지원하는 사업

    1. 지원사업명: 내수기업

    • 지원 대상: 전년도 직접수출 ‘0’
    • 지원 규모: 66억, 244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3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2. 지원사업명: 수출초보기업

    • 지원 대상: 전년도 직접수출 ‘10만불 미만’
    • 지원 규모: 62억, 230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3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3. 지원사업명: 수출유망기업

    • 지원 대상: 전년도 직접수출 ‘10~100만불 미만’
    • 지원 규모: 57억, 126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5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4. 지원사업명: 수출성장기업

    • 지원 대상: 전년도 직접수출 ‘100~500만불 미만’
    • 지원 규모: 36억, 73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8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II. <혁신바우처> 스타트업, 글로벌강소기업, 브랜드K 기업, 규제자유특구, 스마트제조혁신, 신산업·K-Bio 영위기업에게 지원하는 사업

    1. 지원사업명: 스타트업

    • 지원 대상: 창업 7년 미만 혁신 스타트업
    • 지원 규모: 17억, 55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3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2. 지원사업명: 지원사업글로벌강소기업

    • 지원 대상: ① 글로벌강소기업 지정기업 / ② 수출 500만불이상의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 지원 규모: 55억, 110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10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3. 지원사업명: 브랜드K 기업

    • 지원 대상: 브랜드K 선정기업
    • 지원 규모:7억, 14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10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4. 지원사업명: 규제자유특구

    • 지원 대상: 규제자유특구 입주기업
    • 지원 규모: 10억, 20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10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5. 지원사업명: 스마트제조혁신

    • 지원 대상: 스마트공장 보급기업
    • 지원 규모: 18억, 36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10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6. 지원사업명: 신산업·K-Bio

    • 지원 대상: 신산업 영위 선도기업 및 K-Bio 업종 영위기업
    • 지원 규모: 9억, 18개사
    • 기업별 지원한도: 100백만원
    • 국고보조율: 매출 규모에 따라 50~70%





    # Appendix

    - 추가 설명

    ※ 국고지원 보조율은 기업별로 차등 지급됩니다. 보조율 기준은 전년도 매출액 규모에 따릅니다.
    * 매출액 100억원 미만(70%), 100∼300억원 미만(60%), 300억원 이상(50%)

    ※ 수출실적 인정기준: 직접수출증명(한국무역통계진흥원(중기부 제출용) 또는 한국무역협회), 용역 및 전자적 무체물 수출입증명서(한국무역협회) 상의 수출실적을 기준으로 합니다.

    ※ 신청 단계에서는 직접수출실적으로 구분하고, 간접수출 보유기업은 평가시에 우대합니다.

    수출실적 인정기준

    * 관세법 및 대외무역법 상 무역통계 작성 및 교부업무 대행기관의 수출실적 - 직접수출증명(한국무역통계진흥원 or 한국무역협회), 용역 및 전자적 무체물 수출입증명서(한국무역협회)

    ※ 수출실적 : 직접수출증명 + 용역 및 전자적 무체물 수출입증명서


    - 혁신바우처에 대한 추가 설명

    ※ <혁신바우처> 중 4개 사업(3. 브랜드K 기업, 4. 규제자유특구, 5. 스마트제조혁신, 6. 신산업·K-Bio)에 선정된 기업은 수출성장단계(내수~성장)와 무관하게 보조금 최대 1억원을 지원합니다.


    ※ <혁신바우처> 지원 대상 기업 보충 설명

    ① (브랜드K 기업) 대한민국 중소기업이 생산한 혁신기술 기반의 “소비재 우수 제품군”을 발굴하고 국가대표브랜드를 부여하여 상품에 대한 이미지 제고 및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중기부 선정)

    ② (규제자유특구) 규제로 인해 시험이 불가능한 혁신기술을 제약 없이 테스 트하는 지역(중기부 지정)의 입주기업

    ③ (스마트제조혁신) 중기부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및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등에 선정된 기업 * 모집 마감일(6.18)기준 지정 또는 선정이 유효한 기업(취소기업 등은 제외)

    ④ (글로벌강소기업)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지정된 기업 또는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에 선정된 수출액 500만불 이상인 기업 * 모집 마감일(6.18)기준 지정이 유효한 기업(취소기업 등은 제외)

    ⑤ (신산업·K-Bio기업) 인공지능, 빅데이터, 스마트홈 등 신산업 영위 선도기업 [별첨2], K-Bio 업종 영위기업 [별첨3], 중기부 ‘BIG 3 분야 벤처·스타트업 100’ 지정기업




    • #수출바우처
    • #해외박람회 지원사업
    관련 아티클